1. 노드란?
블록체인에서 노드(Node)
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를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분산화된 시스템으로, 여러 노드들이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핵심 구성원으로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한다.
블록체인은 노드들의 협력으로 그 안정성과 신뢰성이 보장되고, 투명하고 분산화된 방식의 네트워크가 유지된다.
🔎 노드와 피어의 차이
블록체인에 대해 얘기할 때 '노드'와 '피어'는 종종 혼용되거나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 둘은 다른 의미를 가진다.
피어(Peer)
는 P2P 기술에서의 'P'의 약자로,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다른 노드를 의미한다.
P2P 기술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중앙 서버 없이 사용자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는 다른 노드들과 피어 관계를 형성하여, 이 피어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동기화한다.
요약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참여자)을 전반적으로 나타낼 때는 '노드'를,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노드와 상호작용하는 노드임을 강조할 때는 '피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2. 노드의 종류
블록체인 노드에는 대표적으로 풀 노드, 라이트 노드와 더불어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이 글에서는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만 언급하겠다.
풀 노드
풀 노드는 블록체인에서 이뤄진 모든 거래 정보를 보유한 노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풀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초로 생성되는 블록인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
부터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블록까지 모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모든 트랜잭션과 블록을 스스로 검증할 수 있다.
많은 저장공간 및 비용이 필요하여 서버 또는 전용 컴퓨터에서 운영된다.
라이트 노드
라이트 노드는 블록체인의 데이터의 일부(주로 블록헤더의 중요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는 노드를 의미한다.
라이트 노드는 모든 블록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거래 정보를 받았을 경우 해당 거래가 정상적인지 검증할 수 없다.
따라서, 풀 노드에 블록 정보를 요청하여 개별 검증을 진행한다.
이 개별 검증에 사용하는 매커니즘을 SPV(Simplified Payment Verification, 단순 지불 검증)
이라고 한다.
SPV는 라이트 노드가 블록체인의 전체 복사본 없이도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으로,
블록 헤더에 있는 머클 루트값을 보고 트랜잭션의 유효성과 블록의 무결성을 검증한다.
라이트 노드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확인하는 데 풀 노드에 비해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풀 노드에 비해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 장점으로,
스마트폰이나 개인 컴퓨터에서 주로 동작한다.
이렇게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에 대해 알아보았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는 이들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노드가 존재하며, 각 노드 유형은 특정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가장 핵심 구성원은 바로 '풀 노드'이다.
풀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데이터를 보유하여 트랜잭션을 검증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안정성, 보안, 무결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과 서비스의 성공에는 풀 노드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블록이란? - 블록의 개념 및 구성 요소 (0) | 2024.04.07 |
---|---|
[블록체인] 개인키와 공개키란? +트랜잭션 유효성 검증 원리 (0) | 2024.04.06 |